"광주 사교육비 증가세…공교육 정상화 대안을"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논평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8일 "광주시교육감은 학벌서열 완화 대책과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개혁 정책들에 대해 책임있는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시민모임은 이날 교육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에 대해 "사교육 참여와 비용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서울과 지역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1486개 학교 4만여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2018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에 따르면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017년 27만2000원에서 지난해 29만1000원으로 약 7%정도 상승했다.
또 사교육 참여시간 또한 평균 6.1시간에서 6.2시간으로 증가했다.
지역별 통계를 보면 광주시는 학생 1인당 평균 사교육비가 24만5000원에서 26만2000원으로 6만7000원이 증가했다. 또 사교육 참여율은 68.7%에서 69.4%로 0.8%포인트 올랐다.
다만 이들 모두 전국 평균인 29만1000원, 72.8% 보다 낮았다.
사교육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돼왔던 방과 후 학교 참여율은 2015년 57.2%, 2016년 55.8%, 2017년 54.6%, 2018년 51.0%로 지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였다.
EBS 교재구입 비율 또한 2017년 16.9%에서 2018년 15.7%로 감소했다.
시민모임은 "고학벌 대학을 놓고 경쟁하는 체제는 결코 지역을 살리는 교육정책이 될 수 없다"며 "지역은 지역의 문제를 고민하는 지역대학을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전국적으로는 올바른 공교육을 세우기 위한 정책들에 더 많은 연구와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면서 "교육감 선거 때마다 반복되는 '실력광주'라는 말은 사교육을 부추길 우려가 있는 무책임한 논란이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러한 논란에 교육감이 참여할 것이 아니라 학벌서열 완화 대책,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개혁 정책들에 대해 책임 있는 대안을 교육감은 제시해야 한다"며 "지역 언론들 또한 '실력광주' 위기론 등을 보도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증가하는 사교육비 추세를 경감시킬 대책 마련 등의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서 보도해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