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엄마들이 꿈꾸는 덴마크식 교육법>의 저자 김영희씨가 3일 오후 7시 광주 동구 중앙도서관에서 '삶의 행복지수 1위의 나라, 덴마크의 교육현장'을 주제로 강연을 한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주최한 이번 강연은 덴마크의 교육환경을 설명하고 이를 통해 올바른 교육이란 무엇인지 공유할 것으로 보인다.


강연 신청은 인터넷(http://goo.gl/Eils9b)을 통해 할 수 있다. 


,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다음 달 3일 오후 7시 광주중앙도서관에서 김영희 저자 초청 ‘삶의 행복지수 1위의 나라, 덴마크의 교육현장’ 강연회를 개최한다.


광주시민모임은 “덴마크의 교육시설과 그 시설 안에서 어떤 교육을 학생들이 받고 있는지 자세한 설명과 생생한 사진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며 “덴마크가 실현한 가치를 통해 올바른 교육의 답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한 발자국 다가가길 바란다”고 강연취지를 밝혔다.


김영희는 3년간 덴마크 거주했으며 전 과천품앗이 운영위원장으로 현재 전남 곡성군에 귀촌했고 ‘대한민국 엄마들이 꿈꾸는 덴마크식 교육법’의 저자다.


참가를 희망하는 사람은 http://goo.gl/Eils9b에서 신청서를 작성해 이메일(antihakbul@gmail.com)로 접수하면된다. 선착순 60명이다.


이번 강좌는 학벌없는 사회를 열어가는 시민강좌 26번째 이야기다. 

,

올바른 교육의 답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한 발자국 다가가는 자리가 마련되어 눈길을 끈다. 입시지옥이라는 오명을 받는 한국 교육의 현장에 덴마크의 교육현장 사례를 통해 우리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자리이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과 광주중앙도서관은 공동으로 학벌없는사회를 열어가는 시민강좌 26번째 이야기로 김영희씨를 초청해 ‘삶의 행복지수 1위의 나라, 덴마크의 교육현장’를 주제 강연을 갖는다.

12월3일(화) 저녁7시 광주중앙도서관 3층 시청각실에서 열리는 이번 강좌는 <대한민국 엄마들이 꿈꾸는 덴마크식 교육법>이라는 저자의 솔직담백한 자리가 될 것이다.


김씨는 덴마크에 거주했고, 전)과천품앗이 운영위원장을 지낸 뒤 현재 곡성으로 귀촌하여 생활하고 있다.

김씨는 이번 강좌에서 “자연과 더불어 자신이 좋아하는 공부에 더 시간을 할애하고, 스스로의 시간을 충분히 가지며, 자신의 특기를 살리는 교육을 받는 덴마크 학생들.” 이야기를 풀어나갈 예정이다.

그렇다고 덴마크가 천국은 아니다. 경쟁보다는 협동을 선택한 그들이었기에, 공유하는 삶을 선택했기에, 삶도 교육도 한국과 차이가 있는 것이다. 차이와 다름을 객관적으로 인정할 때 변화가 시작되듯이, 지구 건너편에 살고 있는 ‘덴마크 사람들의 교육과 삶’을 사심 없이 바라봄으로써 우리의 인식의 지향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강연회는 덴마크의 교육시설과 그 시설 안에서 어떤 교육을 학생들이 받고 있는지 자세한 설명과 생생한 사진을 통해 살펴보는 자리이다.


신청_ 누리망 접속 → http://goo.gl/Eils9b 

문의_ 전화 070.8234.1319 이메일 antihakbul@gmail.com

,

▶학벌없는사회를 열어가는 시민강좌 


 `대한민국 엄마들이 꿈꾸는 덴마크식 교육법’의 김영희 저자를 초청해 `삶의 행복지수 1위의 나라, 덴마크의 교육현장’을 주제로 시민강좌를 진행합니다.


 일시·장소 : 12월3일(화) 오후 7시 광주중앙도서관 3층 시청각실

 주관 :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광주중앙도서관

 강사소개 : 3년간 덴마크 거주, 전 과천품앗이 운영위원장, 현재 곡성에서 귀촌, `대한민국 엄마들이 꿈꾸는 덴마크식 교육법>’ 저자, 프레시안 `덴마크에 살아보니’ 30회 연재

 대상 : 누구나 참석 가능하며 참가비 없습니다. 선착순 60명.

 문의 : 070-8234-1319 이메일 antihakbul@gmail.com.


▶한국환경공단 호남권지역본부와 함께하는 책나눔 특별전


일시: 11월29일(일) 오전 10시30분~오후 7시. 

장소: 아름다운가게 용봉책방 매장내 


 한국환경공단 호남권지역본부 임직원분들의 기증해주신 도서 2100권을 판매합니다. 판매된 수익금은 우리지역 독거 노인, 조손가정 방문을 통한 나눔보따리 생활용품이 전달됩니다 

 설 연휴 일주일 전, 쌀과 생필품이 들어있는 나눔보따리를 만들어 자원봉사자들이 직접 독거 노인, 조손가정을 방문하여 전달하는 행사로, 2014년 제 11회를 맞는 아름다운 나눔보따리는 전국 5000가구를 방문할 예정입니다


문의 : 062-514-8975


▶광주사회적경제 미래구상전략회의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 자활, 마을공동체활동가, 시민사회단체 등 300여 명이 모여 협동과 연대의 지역살림공동체 비전을 만듭니다.


 일시 : 12월2일(월) 오후 2시~8시.

 장소 : 김대중컨벤션센터(서구 치평동)

 문의 : 062-381-1134.

,





미루고 미룬 일을 뒤늦게 서야 하는 것 같아, 후기를 기대하신 분들에게 죄송스럽습니다. 지난 10월에는 한정일 노동운동활동가, 11월은 박소영 싱어송라이터를 사람책으로 초대해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어느 유명한 명사 초청 강연회보다 진한 감동이 있는 자리였습니다.


먼저 자칭 비정규직 전도사라 불리는 한정일 님은 대기업 취직이란 안락한 삶을 벗어나, 몸서 비정규직을 경험하며, 비정규직을 위해 사회운동을 하고 있는 삶의 이야기를 들려줬습니다.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살아가야 하는 부담감이 늘은 건 사실이지만, 비정규직의 문제에 대해 놓치고 싶지 않은 욕구가 강하게 보였습니다. 문제를 경험하지 못하지 못했다면 이런 욕구가 생지도 않았을겁니다. 자기 존재에 대한 배신은 절대 않겠다고 다짐한 한정일 님. 앞으로도 비정규직 문제를 위해 힘찬 발걸음 이어나가길 응원하겠습니다.


동영상보기 : http://youtu.be/lKamSpUHfCI


012


박소영 님은 싱어송라이터, 흔히 쉽게 얘기하면 가수 혹은 음악가입니다. 예전 같으면 음악으로 먹고 살기 힘들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을 텐데, 박소영 님 말대로라면 지금은 먹고 살만큼 조금 편의해졌다고 합니다. 물론 저마다 편의의 기준은 다를 겁니다. 다만, 이 음악을 언제까지 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부담은 어느 누구보다 많을 겁니다. 대리운전콜센터 등 서비스직에 일하면서, 20대의 방황했던 삶을 경험하면서, 느낀 감정들이 지금의 노래로 재탄생되기까지는 많은 고뇌가 있었을 겁니다. 그 고뇌의 중간완성단계인 음반제작이 꼭 이뤄지길 바라고 응원하겠습니다.


박소영 음반제작 펀딩주소 : http://tumblbug.com/ko/soyoung

한정일 사람책 PPT자료 : 

PPT_8월 사람책도서관.pptx

박소영 사람책 PPT자료 : 

PPT_사람책도서관 (11월 박소영).ppt






,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611884.html


20일 음악인 박소영씨 ‘사람책’ 강연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20일 저녁 7시 아름다운가게 헌책방 광주 용봉점에서 ‘싱어송라이터 박소영’이 등장하는 사람책 강연회를 펼친다. 박씨는 도시 대안학교의 음악교사로 활동하면서 가사를 쓰고 노래를 지어 사람들을 만나는 음악인이다. 첫 음반 <상실의 기록>을 준비중이다. 070-8234-1319.

,

공현 인권운동가 초청 강연회 잘 마쳤습니다. 대학거부를 넘어 병역거부를 선택하기까지 그의 많은 고민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한국 대학교육이 '대안이 무엇이냐' 따지기 전에, '문제가 무엇이냐'를 짚어준 소중한 자리였습니다.

올해도 수능을 거부할 청소년들이 있을거라고 합니다. 매년 이렇게 대학입시를 거부하는 사람들이 생겨나는데, 아직도 우리 정부와 교육은 요지부동입니다. 그러나 우리의 마음은 변하고 있다고 느껴집니다.

'더 이상 이런 교육을 받아선 안된다는... 교육의 새 길을 찾아야 한다는...' 그 마음의 변화들이 널리 퍼져갔으면 좋겠습니다.


강연회 원고는 아래 첨부파일과 같습니다.


대학 잘못 온 사람이 던지는 물음표.hwp


강연회 동영상으로 다시 보기 -> http://youtu.be/nouXut6Kqs0





,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381417200508110074


무단배포 금지로 인해 링크만 올려놨어요. 접속해 글 확인해보세요.^^

,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2657520


무단배포 금지로 인해 링크만 올려놨어요. 접속해 글 확인해보세요.^^

,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885455


무단배포 금지로 인해 링크만 올려놨어요. 접속해 글 확인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