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일선 고등학교의 방과후학교 운영이 입시(기존 교과)학습 중심으로 돌아가고 있다는 문제를 광주광역시교육청으로 지적한 바 있는데요. 시교육청은 입시현실에 직면해 있기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답변해왔습니다.
그럴거면서 뭐하러 방과후학교를 하는 겁니까. 그냥 보충수업이라고 이름 붙이지.ㅠ
[답변내용]
우리시교육청의 방과후학교 정책에 관심을 갖고 여러 가지 제안을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① 우리시교육청에서는 고등학교의 경우 특기,적성 프로그램 운영을 권장하나 입시현실과 직면해 있는 고등학교의 특성상 교과 심화보충이 주를 이루는 것이 현실입니다. 계속적인 지도, 감독을 통해 특기적성 등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운영되도록 권고 하겠습니다.
② 방과후학교는 수익자 부담 원칙으로 강사, 강좌, 수강료 등은 학교운영위원회 심의사항이며 교육부나 교육청도 강좌 수에 대한 상한선 제시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입니다.
③ 우리시교육청은 민간위탁을 불허하며 사회적기업과 관련한 위탁현황은 2015.4.30.자 기준으로 5월 중에 교육부 통계 조사가 이루어질 계획이므로 그 시기에 함께 조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휴면게시판 > 2013~15년 활동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CC학원 외 12개 학원의 성적 및 특정학교 합격자 명단공개 문제'에 관한 민원제출 (0) | 2015.04.07 |
---|---|
'고려고등학교 등 3개교의 특정학교 합격 홍보물 게시 문제'에 관한 광주광역시교육청의 답변내용 (0) | 2015.04.07 |
'보육시설 CCTV의무화 문제'에 관한 광주광역시 답변내용 (0) | 2015.04.07 |
'학원가 선행학습 홍보행위의 행정처분 강화 요구'에 대한 광주광역시교육청 답변내용 (0) | 2015.04.07 |
'광주광역시 학원의 설립·운영 및 과외교습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 제안'에 대한 광주광역시교육청 답변서 (0) | 201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