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늘도 송원고의 자사고 재지정 취소를 요구하는 일인시위를 이어나갔습니다. 일인시위 끝나고 광주kbs에서 진행하는 시사현장 맥 임병수 기자와 '자사고문제 관련 인터뷰'도 진행했습니다. 방송은 다음주 목요일 저녁10시50분, KBS1채널에서 방영됩니다. 많은 시청바랍니다.



뮤엠영어학원 외 2개 학원의 성적 및 특정학교 합격자 명단 공개에 관한 민원서 제출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에서 확인한 바에 따르면,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뮤엠영어학원, 케이수학전문학원,정원Q&A학원에서 학교 성적 및 특정학교 합격자 명단을 공개하는 홍보물을 게시했습니다. 이에 우리단체는 ...해당 행위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특정학교 합격 게시물 반대운동’과 같은 시민운동을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습니다.
학교 성적 및 특정학교 합격자 명단 공개는 상당히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먼저 1. 학교 간의 위화감을 조성하고, 2. 학부모에게 잘못된 교육적 판단을 유도하거나 사교육비 증감이 될 우려가 있습니다. 3. 더구나 동의되지 않은 학생들의 인적사항을 노출시키고, 학교에서도 공개하지 않은 석차나 성적내용을 학원 임의로 공개하는 것은 학생들에 대한 인권침해이며, 4. 결과적으로 학생 당사자에게 입시경쟁에 대한 부담을 증폭시키고 교육의 본질을 훼손하는 행위라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주장은 법률상에서도 제시되거나 보장받고 있으며, 상위법률에 따른 각종 조례들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우선 먼저 교육기본법 제23조에 따르면 “학생의 정보는 교육적 목적으로 수집, 처리, 이용 및 관리되어야 하고, 법률이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학생 및 보호자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되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학생들의 정보를 제공할 때에는 학생들의 동의를 반드시 얻어야 하고, 일괄적인 동의 방식을 통해 일부 학생이 원하지 않는 개인적인 정보를 공개해서는 안 됩니다. 특히 학생의 동의 없이 성적, 가족 및 교우관계, 징계기록, 학비 미납 등의 개인 정보를 공개해서는 안 되며, 보호자의 동의를 얻었다고 학생 당사자의 동의하지 않은 이상 불특정 다수의 집단에게 정보를 노출시켜서는 안 됩니다.
그리고 헌법 제11조에 따르면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다. 누구든지 성별·종교 또는 사회적 신분에 의하여 정치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 생활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따르면 “특정학교 합격 홍보물 게시가 우리 사회에 발생하는 학력. 학벌 차별의 핵심적 원인은 아니지만, 우리 사회에서 관행적로 이루어지면서 차별적 문화를 조성할 우려가 있다고 보아 그 관행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고 설명하며 인권위 차별시정위원회에서 인권침해라는 의견을 표명하였다.
이처럼 헌법 뿐 만 아니라 국가기관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핵심 원칙이자 인권실현의 기본조건은 평등입니다. 어떠한 경우에라도 차별할 수 없으며 학생들도 선의의 경쟁을 빌미로 차별해서는 안 됩니다.
물론 학원이라는 영업자 입장에서는 학교 성적 및 특정학교 합격자 명단을 공개해야 학생 수요가 늘어나겠지만, 그만한 수요만큼 많은 학생들이 피해를 입는 것이 사실입니다. 특히 ‘그 외의 학교에 입학하거나 성적이 부진한 학생들’에게 차별이나 소외감을 줄 수 있어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입시경쟁을 부추길 우려도 있습니다. 그리고 동일한 단계의 교육을 받았다 하더라도 학교의 종류, 학교이름, 석차 등 결과에 따라 다른 가치가 부여될 수 있고, 심하게는 능력과 상관없이 출신학교나 성적에 의해 사회, 경제적으로 구분하고 배제될 우려가 있습니다. 결국 이런 입시경쟁이 심화될수록 본인의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학교선택보다는 이른바 명문학교에 입학하기 위한 학벌주의로 견고해지기 때문에, 이러한 폐해를 없애기 위해서는 애초에 홍보 행위를 근절해야 합니다.
이에 우리단체는 귀 교육청에게 정중히 요구 드립니다. 1. 해당학원에게 경고조치를 취해주시기 바라며, 학원연합회에는 관련 공문을 발송하여 사전에 예방될 수 있도록 힘써주시기 바랍니다. 2. 그리고 해당학원의 성적 및 특정학교 합격 홍보물을 철거해주시기 바라며 공문과 철거여부에 대한 결과를 우리단체로 송부해주시기 바랍니다. 3. 마지막으로 성적 및 특정학교 합격 홍보 게시 금지하는 내용으로 학원 관련 조례를 개정해주시기 바라며, 4. 올바른 학원문화가 조성될 수 있도록 귀 교육청에게 거듭 요청 드립니다. 끝.
<2014년도 ‘ 서울대학교 등 신입생 출신학교/지역’에 관한 정보현황공개>
◌ 서울대학교 신입생, 수도권 지역의 특목고-자율고 출신 편중 심화… 고교서열화의 증표 - 전체 신입생 중, 특목고 출신 30%, 자율고 출신 20% - 전국 특목고 출신 중 서울 특목고 51%, 전체 자율고 출신 중 서울 자율고는 34%... - 전체 신입생 중 서울 출신 38%, 수도권 출신 61%
◌ 전남대 및 광주교대 신입생, 일반고 출신이 높지만… 광주과학기술원, 과학고-영재고가 독점 - 광주과학기술원 전체 신입생 중, 영재고 및 과학고 출신만 67% - 전남대(광주교대) 전체 신입생 중, 일반고 출신은 83%(85%)
최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2014년도 서울대학교와 광주권역 국립대학교의 신입생 출신학교/지역 현황>을 정보공개 청구하였다.
그 결과, 서울대학교는 신입생 3271명 중 가장 많이 입학한 지역출신이 서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무려 1269명이나 입학했다. 물론 서울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는 점을 반영해야겠지만, 전체 합격자의 38%가 서울 출신이라는 것은 매우 높은 수치다. 더불어 서울과 경기, 인천을 포함해서 보면 전체 신입생의 61%, 서울대 성골이 수도권 출신이라 봐도 과언은 아니다.
또 하나 주목할 만한 것은 자율고등학교, 특수목적고등학교 출신이 크게 두드러진 다는 것이다. 서울대학교 신입생 학교유형별 자료(증1)에 따르면 일반계고 합격자는 1570명(48%), 자율고와 특목고 합격자는 각각 683명(20%), 1011명(30%), 전문계고 합격자는 7명(0.2%)이다. 이처럼 일반고 출신을 제일 적게 받고, 특목고와 자사고 출신을 많이 받은 것은 국립대학의 사회적 책임을 저버린 셈이다.
구분 |
일반고 |
자율고 |
외국어고 |
국제고 |
과학고 |
영재고 |
예술고 |
전문계고 |
계 |
인원(명) |
1,570 |
683 |
373 |
52 |
211 |
210 |
165 |
7 |
3,271 |
학교별인원 /전체인원
대비 비율(%) |
48.0% |
20.9% |
11.4% |
1.6% |
6.5% |
6.4% |
5.0% |
0.2% |
100.0% |
30.9% |
▴ 증1. 2014년도 서울대학교 신입생, 학교유형별 현황
그리고 외국어고·과학고·예술고·국제고 등 특목고 출신 합격자 중 서울지역 출신현황(증2)을 보면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서울대학교 일반고 출신 신입생 중 서울지역 일반고 출신이 32%이고, 전문계고 출신 신입생 중 서울 전문계고 출신은 28%로 서울지역 출신비율이 다소 낮게 나타난다. 그러나 특목고 합격자들 중 서울지역 특목고 출신은 압도적으로 높다. 외국어고 출신 중 서울 외국어고 출신은 56.3%, 영재고 출신 중 40%가 서울 영재고 출신이며, 예술고 출신은 무려 82%가 서울 예술고 출신이다. 이렇듯 통계상으로만 봐도 <지역과 서울 / 일반고와 특목고(자율고)>간 교육 불평등의 지점이 확연히 드러나고 있다.
구분 |
일반고 |
자율고 |
외국어고 |
국제고 |
과학고 |
영재고 |
예술고 |
전문계고 |
계 |
서울인원(명) |
514 |
237 |
210 |
14 |
72 |
84 |
136 |
2 |
1,269 |
전체인원(명) |
1,570 |
683 |
373 |
52 |
211 |
210 |
165 |
7 |
3,271 |
서울인원
/전국인원
대비 비율(%) |
32.7 |
34.6 |
56.3 |
26.9 |
34.1 |
40 |
82.4 |
28.5 |
38.7 |
특목고 중, 서울/전국 대비 평균 51% |
▴ 증2. 2014년도 서울대학교 신입생, 학교유형별 서울/전국 대비 현황
마지막으로 봐야 할 것은 전문계고 출신의 서울대 합격률이 너무 낮다는 점이다. 비록 전문계 고등학교가 수능시험 준비 등 대학 입학을 위한 공부의 비중이 낮고, 공업, 상업, 디자인 등 특정분야에 대한 전문성과 기능을 양성하는 게 중심이기는 하지만, 엄연히 서울대에 전문계고 입학 전형이 존재하는데 전체 입학생의 0.3%도 되지 않는다는 것은 그만큼 전문계고 졸업생에게 서울대의 문턱이 높다는 얘기이며, 서울대의 전문계고 전형이 허울에 불과하다는 얘기일 수 있다.
결국, 서울대의 입시안은 특목고와 자율고 출신 학생들에게 매우 유리한 방향으로 적용되어 배출하고 있는 현실이며, 그 진학자의 절대다수 서울지역이 많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런 현상은 ‘특정한 계층에게만 학벌이 되물림 될 수 있다’는 영향이 크다. 그리고 특목고와 자율고가 설립목적과 다르게 입시 준비학교가 되어버린 현 상황에서, 서울대 등 소위 명문대학들이 특목고와 자율고를 우대하는 방향으로 입시 제도를 진화시킬 우려가 크다.
이런 불평등함을 시정하기 위해 정부차원에서 특목고와 자율고 도입에 대해 재고할 필요가 있고, 이들 학교에게 특혜를 베푸는 서울대가 국민을 상대로 사기행위를 하지 않는 올바른 신입생 입학정책이 필요하다. 특히, 국가차원에서 고교(대학)서열화 및 불평등 현상을 없애기 위해 대학(고교)평준화의 기틀에 맞춘 교육정책 도입이 하루 빨리 필요하다.
한편,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광주권역 국립대학교로 정보공개를 청구한 결과, 전남대나 광주교대는 일반고 출신이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남대는 전체인원4560명 중 3820명(83%), 광주교대는 355명 중 303명(85%)이 일반고 출신이다.
구분 |
일반고 |
외국어고
(국제고) |
자율형
공립고 |
자율형
사립고 |
종합고 |
특성화고 |
특수학교 |
검정고시
(기타) |
계 |
광주
교대 |
303 |
2 |
16 |
11 |
13 |
1 |
1 |
8 |
355 |
85.4% |
0.6% |
4.5% |
3.1% |
3.7% |
0.3% |
0.3% |
2.3% |
100% |
구분 |
일반고 |
외국어고 |
예술고 |
영재고 |
산업고 |
과학고 |
자율고 |
특성화고 |
기타 |
계 |
전남대 |
3820 |
21 |
53 |
3 |
1 |
5 |
489 |
98 |
70 |
4560 |
83.7% |
0.5% |
1.2% |
0.1% |
0.0% |
0.1% |
10.7% |
2.1% |
1.5% |
100% |
구분 |
과학고 / 영재고 |
일반계고/외국어고/검정고시 |
계 |
광주과학기술원 |
109명 |
52명 |
161명 |
67% |
33% |
100% |
자사고 재지정 취소 일인시위는 매일 아침(8~9시)마다 광주시교육청 앞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묻습니다. 광주시교육청이 발표한 '송원고의 조건부 자사고 지정 안'이 사실상 '자사고 재지정 취소' 아니냐고...
조건을 받아드리냐/거부하느냐를 떠나서, 특권학교-입시교육의 성격을 갖고 있는 자사고의 정책은 이미 폐지되어야 마땅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장휘국 교육감은 '자사고 재지정 취소'를 결정하는 것이 옳은 판단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자사고를 반대하는 단체 실무자들과 시민들은 '자사고 재지정 취소'가 되는 날- 끝까지 피켓을 들 것입니다.


광주과학기술원을 상대로 낸 대학도서관 시민제한처분 취소 행정심판청구. 최근 광주과기원에서 답변서를 보내왔고, 8월12일에 심리를 진행합니다. 좋은 판결을 기대하고 싶은데... 그리 쉽게 장담하기는 힘들겠네요.

송원고등학교, 자율형사립고등학교 재지정 취소를 요구하는 일인시위를 매일 아침마다 광주광역시교육청 정문 앞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문수영 풍암동 주민께서 함께 해주셨습니다. 조만간 장휘국 교육감이 재지정 여부를 판단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함께 자사고 폐지의 목소리를 외쳐주세요!

송원고등학교의 자율형사립고등학교 재지정을 심의하는 날. 자사고를 반대하는 시민들과 단체 관계자들이 모여 '자사고 재지정 취소'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렸습니다. 그리고 의견서를 심의위원들에게 전달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자율학교 지정 운영위원회는 회의공개를 거부하였고, 회의를 공개하라는 요구 속에서 물리적인 충돌이 일어났습니다. 1시간 뒤 회의가 속개되었고 심의결정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전반적으로 만족스럽지 않지만, 사실상 자사고 폐지 조건을 내걸었다는 것은 '일부 환영'할만 합니다.
# 참고. 광주광역시교육청 보도자료 <송원고, 자사고 지정 연장 심의> -시교육청, 자율학교 등 지정 운영위원회 회의 개최
광주 송원고등학교의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의 지정 또는 지정취소를 결정하기 위한 광주광역시 자율학교 등 지정 운영위원회 회의가 7월23일 오전 시교육청 상황실에서 열렸다. 동 위원회에서는 이번 시도연합평가단에서 실시한 자사고 운영성과 평가가 일반 사회 및 교육분야 전반에 미치는 영향 등 정책적 판단에 대한 고려가 없이 단순히 현상에 대한 평가에 치우쳐 그 결과에 수긍할 수 없지만, 평가지표를 달리하여 재경가를 실시하기에는 내년도 입시요강 발표 시점 등 제반 여건을 고려해볼 때 물리적으로 어렵다고 판단하고 아쉽지만 시도 연합평가단의 평가결과를 존중하되, 첫째 평가결과 법인전입금 저조 등 문제점과 미흡한 분야에 대해 향후 대폭 지원 등 이행여부의 확인을 위하여 2년 경과 후 재평가하는 방안, 둘째 신입생 전형방식을 기존 성적 상위 30% 이내에서 아예 성적제한을 없애고 추첨 선발하는 방안, 셋째 향후 자사고 운영성과 평가시 정책 지표를 추가하는 방안, 넷째 기초교과 이수단위 비율 확대하는 방안, 다섯째 학생 1인당 재정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조건으로 하여 지정 또는 지정취소에 대한 최종 판단은 장휘국 교육감님께 일임하는 것으로 의견을 모았다.





송원고등학교, 자율형사립고등학교 지정 연장 심의결과에 대한 광주시민사회단체 입장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는 이번 광주광역시 자율학교 지정 심의운영위원회(이하 운영회의)에서 논의된 ‘송원고등학교, 자율학교 지정 연장에 관한 결정’을 심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아래 내용은 심의결과에 대한 우리의 입장이다.
첫째, 이번 운영회의에서 내놓은 조건부 결정은 실상 눈 가리고 아옹식이다. 심의과정 속에서 ‘법인전입금 저조 문제점’이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법인전입금 구체적인 납부방식’을 이행사항으로 넣지 않은 것은 솜 방망이식이라고 보여 진다. 참고로 송원고의 경우 세비대비 법인법정부담금 납부율이 1.56%(2013년) / 1.65%(2012년) / 1.23%(2011년)에 그치지 않는다. 학교 운영을 위해 최소한 내야할 법정부담금조차 '배째라'라는 식으로 내지 않고 있는 것이다. 지금이라도 부실한 송원재단은 스스로 자사고를 포기하고, 시교육청은 송원고 뿐 만 아니라 사립학교 법인-법정전입금 납부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자사고 운영평가를 진행할 때 정책 지표를 추가 한다고 했지만 어떠한 정책 지표를 제시할 것인지 불분명하며, 운영평가의 목표가 뚜렷하지 않다. 서울시교육청은 ‘자사고 인근 교육주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거나 ‘공교육 영향평가를 토대로 지표를 마련’하는 등 교육감 소신과 교육청 정책으로 그대로 반영하였다. 지금이라도 장휘국 교육감은 제대로 된 소신을 갖고 자사고 운영평가 지표를 마련해주길 바란다. 그리고 다양한 사람들이 운영평가에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주길 바란다. 이번처럼 운영회의를 비공개하거나, 관련 시민단체나 시민들의 공식적인 의견수렴을 단 한 번도 진행하지 않은 것은 ‘자사고 재지정을 위한 수순’이 아니냐는 의심을 갖기 충분했다. 지금이라도 열린 행정의 자세로 자사고 운영평가에 대한 논의를 열어주길 바란다.
셋째, 운영회의에서 자사고 불법 재정지원에 대한 언급이 일언반구 없었다는 점이다. 2013년 교육부가 민주당의원들에게 제출한 국감자료와 2014년 도종환의원에 제출한 자사고 재정보조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4년 재지정평가 대상 자사고들(25개교)이 초중등교육법시행령을 위반하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재정보조를 받은 것이 확인되었다. 송원고의 경우, 2012년 35,000천원 / 2013년 18,478천원(교직원 인건비와 학교교육과정 운영비, 사회적배려자 지원금 제외)을 지원받았다. 이는 자사고 지정의 최소한의 법정 요건을 위반한 것으로 지금 실시하고 있는 교육청의 학교운영성과평가 결과와 관계없이 송원고와 이들 자사고의 경우 지정철회가 불가피하다. 이미 불법재정 지원은 사회적인 논란임에도 불구하고 운영회의는 이 점을 간과하였다. 이제 교육감이라도 이 문제를 배임하지 않길 바란다. 그리고 시교육청은 불법재정 지원을 받은 송원고에 대해 법적 검토를 제고해주길 다시 한 번 당부한다.
물론, 운영회의 결정사항이 실망스러운 내용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신입생 전형방식의 성적제한을 폐지하거나, 기초교과 이수단위 비율을 확대하는 등 공교육을 정상화하려는 깊은 뜻에 대해서는 환영하는 바이다. 하지만 자사고 정책 자체가 공교육 근간을 흔들고 있고, 송원고가 부실-불법으로 운영되어온 것은 사실이기에 재지정 취소되어야 마땅하다. 설령 운영회의에서 결정한 다섯 가지 조건을 송원재단이 수용하더라도, 자사고가 재지정 된다면 또 다른 파행과 불법, 교육주체들의 갈등을 몰고 올 것이 분명하다. 갈수록 자사고가 갖고 있는 프레임이 한국교육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 화살은 교육감에게 넘어갔다. 장휘국 교육감의 소신은 무엇보다 ‘자사고 폐지(자사고 재지정 취소)’다. 그 소신 그대로 결정에 반영되길 기대한다.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도 비단 송원고 현안 뿐 만 아니라, 전국의 자사고 폐지를 함께 주장하며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다. 끝.
2014. 7. 24 자율형사립고등학교를 반대하는 광주시민모임 (광주인권회의, 광주교육희망네트워크, 광주시민단체협의회)
7월21일 대학도서관 시민개방 촉구를 위한 일인시위를 광주과학기술원 도서관에서 두번째 진행했습니다. 일인시위를 진행하는데, 30분 째 단 1명만 출입하네요. 이런 텅텅 빈 대학도서관 개방하면 좀 안됩니까?^^


다가오는 내일(수) 송원고등학교의 자율형사립고등학교 재지정 심의회의가 열립니다. 이 날 자사고를 반대하는 시민과 단체 관계자들이 모여 자사고 재지정 반대시위를 벌리고, 심의 운영위원들에게 의견서를 전달할 예정입니다. 의견서는 아래와 같으며, 많은 시민들의 참여와 연대를 바랄께요.
* 일시 : 7월23일(수) 오전10시, 광주광역시교육청 본관 2층 상황실
<의견서_ ‘송원고등학교의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 재지정’을 취소하라.>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가 교육현실에서 보여주고 있는 것은 ‘고교서열화체제의 상층부를 차지하는 특권학교로 기능하고 있다는 것’, ‘소위 명문대 진학위주의 입시교육을 부추기고 사교육을 증대시키고 있다는 것’, ‘대부분의 일반학교를 슬럼화 시키고 있다는 것’, ‘사회의 부익부빈익빈에 따라 교육도 차별-양극화시키고 있다는 것’ 등 심각한 사회문제들이다.
광주지역 시민단체는 특권학교로서 이런 사회적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는 자사고를 반대하며, 자사고의 각종 문제점들을 밝혀내고자 올해 6월부터 진행 중인 송원고등학교 자사고 운영평가 자료를 광주광역시교육청에게 요구한 바 있다. 그러나 시교육청은 “각종 평가계획 관련 자료가 공개될 경우, 악용사례 또는 염려되는 상황으로 업무의 공정한 수행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어 공개할 수 없다.”고 비공개 의사를 밝히고 “평가결과가 나오면 이후 공개한다.”라고 통보했다.
* 소통을 거부하는 일방적인 교육정책 진보교육감들이 한 목소리로 자사고 재지정을 하지 않거나 줄여나가겠다는 교육목표를 세우는 이 마당에, 진보교육감이 재당선된 광주시교육청이 ‘일명 자사고 비밀주의’를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도 모자라 시교육청은 5명의 시도평가단과 광주광역시 자율학교 등 지정 운영위원 15명에게 모든 걸 위임하고 인원을 한정하여 평가를 비밀리 결론내릴 태세이다. 하지만, 자사고 재지정에 대한 반대의견이나 자사고의 각종 문제들이 연이어 터지고 있는 만큼, 시교육청은 자사고 관련 자료를 당당하게 밝히고 공청회나 토론회 실시 등을 통해 공론화작업을 거치는 게 옳다.
* 입시학원, 자율형 사립고 교육부는 건학이념의 실현과 다양하고 특성화된 교육을 실시하고자 자사고를 도입하고, 운영성과 평가를 엄정히 하여 지정목적 달성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학교를 일반고로 전환하겠다고 하였다. 하지만 자사고가 입시위주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음은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 자사고의 교육과정 편제표나 방과후 학교 운영 내용만 살펴보아도 입시교육에 완전히 매몰되어 있음을 쉽게 간파할 수 있다. 송원고의 경우, 다른 일반계 고등학교에 비해 국-영-수 등 기초교과 수업시수는 약20시간 늘리면서 체육-예술 등 예체능 교과는 약10시간 줄이는 등 소위 명문대를 보내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다.
* 불법재정지원, 자율형 사립고 2013년 교육부가 민주당의원들에게 제출한 국감자료와 2014년 도종환의원에 제출한 자사고 재정보조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4년 재지정평가 대상 자사고들(25개교)이 초중등교육법시행령을 위반하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재정보조를 받은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송원고의 경우, 2012년 35,000천원 / 2013년 18,478천원(교직원 인건비와 학교교육과정 운영비, 사회적배려자 지원금 제외)을 지원받았다. 이는 자사고 지정의 최소한의 법정 요건을 위반한 것으로 2014년 실시하기로 예정된 교육부, 교육청의 학교운영성과평가 결과와 관계없이 이들 자사고의 경우 지정철회가 불가피하다.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는 국민이 마땅히 알아야 할 정보를 감추고 자사고 운영평가를 비밀리 진행하는 것에 대해 실망하며, 자사고 문제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대처해주길 요구한다. 하나, 광주광역시교육감은 ‘자사고 재지정을 취소’하고, ‘진보교육감으로서 분명한 의지’를 밝혀라. 하나, 광주광역시교육청은 ‘자사고 평가내용을 시민들에게 공개’하고, 공교육영향평가를 반영한 자사고 운영평가를 실시하라.
2014년 7월 23일 / 자율형사립고등학교를 반대하는 광주시민 및 단체 일동
|
|
|